건축 및 공간을 매개로 한 일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건축가 그룹입니다.
일상 공간의 경험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의 가치를 중시하며, 이를 통해 더불어 함께하는 건축을 지향합니다. 트렌드로 묶이는 일시적 흐름 속의 디자인이 아닌 소수의 특별함을 담아내는 정성스러운 공간을 만들어 가고자 하며, 이러한 일련의 전문적인 구축의 과정을 클라이언트와 공유하고 공감하고자 합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김미희, 고석홍
- 설립
- 2016년
- 주소
- 서울 성동구 서울숲6길 13 (성수동1가, Forest Seongsu) B1F
- 연락처
- 02-461-2357
- 이메일
- 235711sosu@gmail.com
- 홈페이지
- http://sosu2357.com
윤슬재
의정부 단독주택
윤씨네 슬기로운 집 생활
오랫동안 아파트 생활을 해오던 건축주는 ‘내 집안의 마당’이 있는 단독주택을 원했다. 대지가 속한 동네는 단독주택 전용지로 개발된 공공주택 지구이며, 대부분의 택지 개발형 지구는 이웃 간의 소통과 마을 풍경을 위해 투시형이나 생울타리 등의 담장 규정이 있다. 하지만 자기만의 마당을 만들기 위해 담장 대신 대지의 경계를 따라 건물로 만든 벽은 이웃과 이웃, 건축과 도시 사이에 폐쇄적 경계를 만들 뿐이다.
윤슬재의 마당은 움직이는 유연한 경계를 가진다. 석재 루버의 움직임에 의해 경계가 변화하며, 루버의 열리고 닫힘을 통해 마당은 프라이버시가 확보된 온전한 가족의 공간이 되기도 하고, 지나가는 사람들의 시선이 머무는 작은 정원이 되기도 한다.
△ 열린 외벽 루버
△ 닫힌 외벽 루버
△ 마당과 별채
△ 마당에서 본 별채
△ 별채에서 본 마당과 집
이름 없는 방 ‘별채’
아파트는 거실, 주방, 침실 등 기능에 충실한 효율적인 주거 유형이다. 단점은 없지만 여지가 없는 아파트의 공간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장치에 가깝다. 가족들에게 평생 삶의 배경이 될 집은 기능만이 아닌 가족들의 기억을 담을 수 있는 여지의 공간이 필요하다.
마당 한쪽에 떨어져 있는 방은 기능이 없는 무명의 방이다. 찬바람에 외투를 걸치고 때론 비를 맞으면서 건너가야 하는 이 방은 모두를 위한 여지의 공간이다. 항상 비워진 방은 엄마의 공부방, 아빠의 코골이 격리방, 어른들의 술방, 아이들의 책방, 손님들의 잠자리 등 다양한 이벤트로 채워지고 있다. 한쪽 벽은 접이식 창호로 계획하여 집과는 떨어져 있지만 마당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도록 설계하였다. 창이 완전히 열리고 벽이 사라지면 방은 지붕이 덮인 마당이 되고, 마당은 하늘이 열린 방이 된다.
△ 거실, 주방
△ 서재
△ 2층 복도
△ 다락의 연속된 창
△ 다락 공간
시선의 연결
집의 한가운데 위치한 마당은 가족 생활공간의 중심이다. 이름 없는 방을 드나드는 통로이자 2층, 다락에서는 내려다볼 수 있는 정원이다. 2층과 다락의 연속된 창은 복도를 오가며 보이는 마당의 풍경을 끊김 없이 이어준다. 창을 따라 배치된 가족의 침실은 연속된 창을 통해 서로의 시선이 연결된다.
움직이는 입면
건물 외벽은 집의 일부이지만, 그것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은 동네를 오고 가는 이웃이다. 따라서 길에 면한 1층 외벽은 지나가는 사람들이 다양한 풍경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격자형의 석재 루버와 미세하게 조율된 곡선 벽면의 만남은 서로 다른 패턴의 깊이감 있는 그림자를 만든다. 그림자는 빛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며,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중첩된 변화의 요소는 일상의 풍경을 한층 더 풍요롭게 만든다.
① 현관 ② 주방 ③ 식당
④ 거실 ⑤ 서재 ⑥ 별채
① 드레스룸 ② 침실 1 ③ 침실 2 ④ 침실 3
건축개요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
---|---|
규모 | 지상 2층 |
건축면적 | 103.05㎡ |
건폐율 | 39.79% |
구조 | 철근콘크리트 |
최고높이 | |
시공 |
용도 | 단독주택 |
---|---|
대지면적 | 259㎡ |
연면적 | 190.95㎡ |
용적률 | 73.73% |
주차대수 | |
사진 | 노경 |
설계 | 소수 건축사사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