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및 공간을 매개로 한 일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건축가 그룹입니다.
일상 공간의 경험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의 가치를 중시하며, 이를 통해 더불어 함께하는 건축을 지향합니다. 트렌드로 묶이는 일시적 흐름 속의 디자인이 아닌 소수의 특별함을 담아내는 정성스러운 공간을 만들어 가고자 하며, 이러한 일련의 전문적인 구축의 과정을 클라이언트와 공유하고 공감하고자 합니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김미희, 고석홍
- 설립
- 2016년
- 주소
- 서울 성동구 서울숲6길 13 (성수동1가, Forest Seongsu) B1F
- 연락처
- 02-461-2357
- 이메일
- 235711sosu@gmail.com
- 홈페이지
- http://sosu2357.com
동심원 同心院
협소한 대지, 유연한 구조
3세대가 함께 살기에는 협소한 50평형의 대지. 이곳에 부모와 두 딸 내외, 손자·손녀까지 3대가 모여 사는 집을 짓고자 가족이 찾아왔다. 각 세대가 독립적이면서도 공동생활이 가능한 형태의 집이 필요했던 상황.
우선 가족의 개성 있는 삶의 공간을 담기 위해, 우리는 동일하게 적층한 기존 다세대주택 형식에서 탈피하여 각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서로 다른 구성의 평면을 마치 세 개의 단독주택을 쌓아 올린 듯한 방식으로 집을 계획했다. 이렇게 구성된 각 층은 다양한 형태의 계단 구조로 연결되고, 계단실은 아이들의 좋은 놀이터가 된다.
담장과 담장 사이
협소한 대지 조건이 만든 다세대주택의 주차장은 필로티 형식으로, 대부분 골목의 어둡고 후미진 보행환경을 만든다. 반면 ‘동심원’은 필로티 상부 및 바닥 마감을 반사 값이 있는 아연도 C 형강과 에폭시 마감하고 천장과 바닥은 T5 조명을 설치하여, 공간을 수직적으로 확장하고 골목을 지나는 이웃에게 새로운 도시 풍경을 제공했다.
△ 서로 빛을 주고받으며 공간을 수직적으로 확장한 주차장
△ 가족이 함께 운영하는 1층 카페
△ 주거공간 출입구
주거공간 - 허물어진 방의 경계
각 세대는 평형대별로 가장 흔한 거실, 주방 및 식당의 크기와 방의 수가 아닌, 가족의 생활 방식을 고려한 공간 구성을 하였다.
대표적으로 2층 부모님 세대의 주방 및 식당을 세 가족이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이로 인해 부족한 부모님 세대의 방, 수납공간을 자녀 세대에서 공유하도록 했다. 세대 간 공간의 공유는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가변적 공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201 부모님이 사는 집
△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을 표시한 사인 - 201호
△ 주방 및 식당
△ 복도
△ 거실
△ 2층 거실은 슬라이딩 벽체를 닫으면 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 계단실
301 언니 가족이 사는 집
△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을 표시한 사인 - 301호
△ 3층 멀티룸
△ 3층의 거실과 주방 및 식당이 합쳐진 멀티룸은 필요에 따라 조명과 가구 배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401 동생 가족이 사는 집
△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을 표시한 사인 - 401호
△ 주방
△ 5층 복도에서 바라본 모습
△ 방
다세대주택은 흔히 발코니 확장 면적 등의 경제적 혜택을 얻기 위해 큰 창을 설치하지만, 발코니 구조에 법적으로 필요한 난간이나 차면 시설에 의해 창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이러한 건축적 요소들은 필요에 의해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도시 풍경을 해치고, 실내의 자연 채광 및 환기에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우리는 다양한 패턴의 벽돌 영롱 쌓기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통일감 있는 입면 디자인으로 이웃에게는 새로운 도시 풍경이 되고자 했다.
△ 양쪽에서 모두 출입이 가능하도록 욕실은 공용공간과 침실 사이에 배치했다.
△ 욕실
△ 각 층을 연결하는 다양한 형태의 계단실은 아이들의 좋은 놀이터가 된다.
△ 다락
△ 다락
'동심원'은 일조 확보를 위한 법적 제한선을 그대로 드러낸 모습을 하고 있다. 특히 불법 증축을 용인하는 매스 계획 대신 이웃의 일조권을 배려하고, 법적 제약 조건을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 옥상 테라스
도시 대안 주거로서의 가능성
서울에는 47만 호의 주거용 건축물이 있으며, 그중 절반에 가까운 20만 호의 건물이 다가구, 다세대주택이다. 이는 획일화된 한국 주거 문화의 문제로 언급되는 아파트 다음으로 많은 주거 유형이다. 특히 노후화된 다가구, 다세대주택들은 개인 건축주의 자본의 한계와 건축 법규적 제약으로 대규모 개발보다 더 열악한 도시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러나 다가구, 다세대주택과 같은 소규모 공동주택은 높은 지가의 도시에서 개성 있는 개인의 삶을 담을 수 있는 경제적이고 유연한 구조의 주거 형식이자, 이웃과 함께 사는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도심에서의 인간적인 최소 주거 유형이다. 도심 대안 주거로서의 다가구, 다세대주택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도시와의 관계를 생각하는 건강한 소규모 공동주택에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 단면 투시도 - 1
△ 단면 투시도 - 2
건축개요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
---|---|
규모 | 지상5층 |
건축면적 | 91.16㎡ |
건폐율 | 54.92% |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
최고높이 | |
시공 | 윤홍건축 |
용도 | 다세대주택, 근린생활시설 |
---|---|
대지면적 | 166.00㎡ |
연면적 | 282.11㎡ |
용적률 | 169.95% |
주차대수 | 3대 |
사진 | Mineun Kim |
설계 | 소수건축사사무소 |
자재정보
외부마감 | Q블럭 솔리드 S340 베이직그레이(콘크리트 블록) |
---|---|
창호재 | |
마루 | |
주방가구 | |
욕실기기 | |
현관문 | |
붙박이장 |
내부마감 | 벽체- 벽지, 자작나무 합판 마감 / 바닥- 마모륨 마감 |
---|---|
지붕재 | |
실내가구 | |
욕실마감 | |
조명 | |
실내문 | |
데크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