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 건축은 매니페스토, 케이웍스 등
국내의 각기 다른 성격의 사무소에서 실무 경험을 쌓은
박지현, 조성학 두 명의 젊은 건축가가 의기투합하여 2014년 개소하였다.
건축물을 단순히 구축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한정짓지 않고,
이를 출발점으로 삼아 가구, 영상, 모바일, 라이프스타일 등
상상 가능한 모든 영역으로의 확장을 시도한다.
- 전문분야
- 설계
- 대표자
- 박지현, 조성학
- 설립
- 2014년
- 주소
- 서울 종로구 체부동 147-3 1층
- 연락처
- 02-725-9900
- 이메일
- jhpark@studio-bus.com
수수강정집
#첫 번째 디자인 미팅
계약을 하고 첫번째 디자인미팅을 하기전에 클라이언트분들께 각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질문지 혹은 인터뷰지를 드립니다. 사전미팅을 통해 어떤 건축을 하고 싶으신지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주고 받긴 하지만 마음 속에 있는 깊은 생각들은 신중히 고민하고 글로 적을 때 더 잘 드러나는것 같습니다.
작성된 인터뷰지와 사전미팅의 내용들을 가지고 클라이언트가 생각하는 건축의 방향을 우리 나름대로 해석해봅니다. 그래서 첫 번째 미팅의 디자인은 클라이언트의 생각을 압도해서 아주 마음에 들어하시거나 아예 다른 뱡향이거나 하는 극단적인 피드백을 받게 됩니다.
강정동 주택의 첫번째 미팅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습니다.
인터뷰지에서 클라이언트는 '휘게'라는 키워드를 언급했습니다. 제주도에 집을 지으려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키워드였습니다. 바쁜 도시생활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느끼는 소박하고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집. 그런집이 되면 좋겠다는게 인터뷰지의 주 내용이었습니다.
휘게란?
휘게(hygge)는 편안함과 따뜻함, 안락함을 뜻하는 덴마크어로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보내는 소박하고 여유로운 시간', '일상 속의 소소한 즐거움이나 안락한 환경에서 오는 행복'을 모두 휘게라 합니다.
일상 - 늘 대중속에 존재한다
도시에서의 일상이란 대부분 대중속에서 존재한다는게 우리의 해석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새로운 곳에서의 일상은 어떻게 달라지면 좋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대중의 밀도에서 벗어난 사적인 공간,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길 바랬습니다.
대중의 밀도에서 벗어나기 - 사적인 공간
인터뷰지의 또다른 키워드 '목욕' 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목욕을 할때면 대중에서 벗어나 그 순간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늘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은 유독 천천히 느껴지고, 평소에 들리지 않던 작은 소리들도 들리곤 합니다. 대중의 밀도에서 벗어나 나만의 속도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목욕탕이 있는 집을 설계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기능을 표현해줄 형태적인 특징으로 대중목욕탕의 굴뚝을 떠올려 봤습니다. 지금은 흔하진 않지만 어렸을때는 동네 목욕탕의 굴뚝을 자주 볼 수 있었고, 이 굴뚝을 볼때마다 대중목욕탕 특유의 냄새와 소리들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대지는 네모 반듯하게 생겼고, 집의 규모에 비해 넓은 편이었습니다. 예산을 고려해서 규모를 결정했기 때문에 정직한 2층집이 된다면 대지의 많은 부분을 잘 활용하기 힘들겁니다. 대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1층의 규모를 키웠고, 중정을 계획하면서 면적은 그대로이되 전체적인 볼륨을 더 크게 만들었습니다. 남쪽에 있는 외부마당과 함께 숨겨진 마당이 하나 더 생기는 계획입니다. 집에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공간들이 있기 때문에 그 기능에 따라 공간의 규모도 각각 다릅니다. 중정을 살짝 비틀고 위치를 조정하면서 중정에 의해 생기는 나머지 공간들의 크기를 각자 다르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2층에는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목욕탕이 생깁니다. 대중목욕탕 굴뚝 모양의 개인목욕탕입니다.
1층은 생활의 공간이라면 2층은 시간이 멈추는 공간이 되길 바랬습니다.